세상에는 참 많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가 있습니다. 우리가 구글에 회원가입만 하면 15GB의 용량을 무료로 제공하는 구글 드라이브, 윈도우와 참 쉽게 연동이 되는 마이크로 소프트 사의 원 드라이브, 클라우드 스토리지 전문 서비스인 '드롭박스'까지. 이런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어디서나 인터넷만 가능하다면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을 무기로 삼아 무료 저장공간을 제공하며 적극적으로 세를 늘리고 있습니다. 특히 전용 앱과 HTPPS를 사용한 웹 페이지를 이용해 초보자도 사이트의 디자인만 익숙해진다면 금방 일반적인 저장매체처럼 능수능란하게 사용하실 수 있게 만들어진 점 또한 신규 사용자의 유입을 늘리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다소 불편한 점도 있습니다. 여러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일일히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전용 앱을 사용하는 것은 귀찮고 시간이 오래 걸릴 뿐이니까요. 혹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사이트의 디자인과 복잡한 사용법이 익숙치 않아 대안을 찾는 분들도 있기 마련입니다.
오늘은 그런 분들을 위해 복잡하고 접속도 귀찮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윈도우를 쓰는 이상 누구나 익숙한 윈도우 탐색기로 이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인 'RaiDrive', 일명 '레이드라이브'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RaiDrive? 레이드라이브? 이게 뭔데?
레이드라이브란 '오픈박스연구소'에서 출시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입니다. 윈도우의 탐색기에서 지원이 다소 미흡하거나, 전혀 지원하지 않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와 NAS에 대한 연결을 손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이러한 기능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다양하게 사용하시거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의 전용 웹 사이트나 앱을 사용하는 것 이 힘드신 분들에게 충분히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물론 일부 기능은 유료 버전에서만 지원하고 있으나, 비즈니스 환경이 아닌 일반적인 개인 사용자 입장에서는 무료로 사용하더라도 이만한 프로그램을 찾기 힘들 정도로 사용하기 편하고 짜임새가 좋은 프로그램입니다.
그렇다면 사용 방법은..?
사용 방법도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그저 RaiDrive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프로그램을 설치 후, 자신이 사용하시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연결하시면 여러분이 웹페이지나 앱으로 접속하셨던 그 서비스를 그대로 윈도우 탐색기에서 접속이 가능합니다.
물론 NAS에서 지원하는 FTP 서비스나 WebDAV 서비스의 경우에도 드라이브 추가에서 해당 서비스를 선택하신 후 IP와 포트를 입력하면 그대로 편안한 사용이 가능하니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사용하시는 분들 뿐만이 아닌, NAS를 업무용이나 개인용으로 사용하시는 분들께도 충분히 추천드릴만 합니다.
결론: 컴맹과 컴덕을 위한 적절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물론 FTP 서비스는 '파일질라'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실 수도 있고,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서 기본적으로 운영하는 웹페이지나 앱들이 이미 자리를 잡은 상태입니다. 하지만 윈도우 파일 탐색기에서 쉽고 간편하고 빠르게! 데이터를 관리하고 싶으시다면, RaiDrive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실 것입니다.
이 글이 비록 필자가 유난히 사용하면서 편안함을 느낀 탓에 호평이 글의 대다수를 차지했지만, 저는 이럴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IT 리뷰 > 소프트웨어_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Drive 2023.9.170 실행 불가 오류! (1) | 2024.05.24 |
---|---|
아이뮤즈muPAD K10 PLUS 시스템 업데이트 리뷰 (1) | 2024.04.19 |
초보자를 위한 SSH 접속 프로그램, PuTTY 사용법! (0) | 2024.03.08 |
시놀로지 포토(Synology Photo) 사용기 (1) | 2022.08.16 |
가상 머신 소프트웨어, 버추얼박스 설치하기. (2) | 2022.08.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