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 최근 시스템의 기억장치 관리 (4조)
테이블은 3종류로, 작업 테이블, 페이지 사상 테이블, 기억장치 사상 테이블이 있다
요구 페이징(demand paging)은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일부만을 주 기억장치에 적재하는 개념을 도입했다.
프로그램의 모든 페이지들이 일시에 필요하지는 않으므로, 이러한 방법이 가능하다.
페이지가 주 기억장치에 존재하지 않으면 운영체제가 제어를 넘겨받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는 운영체제 부분을 페이지 부재 처리기(page fault handler)라고 한다. 페이지 부재 처리기는 모든 페이지 프레임이 사용중 일 때, 어떤 페이지를 교체할 것 인지 또한 교체 정책에 따라 결정한다.
선입선출(FIFO)
선입선출 페이지 교체 기법은 주 기억장치에 가장 오래 있었던 페이지를 교체한다.
높은 페이지 접근 실패율은 주기억장치의 한정된 용량과 프로그램이 페이지를 요구하는 순서에 기인한다. 하지만 주 기억정차의 용량을 늘리는 것이 항상 최선의 해결책은 아니며, 이를 FIFO 이상 현상이라 한다. 이러한 현상은 작업에 할당하는 페이지 프레임의 수가 증가함에도 페이지 부재의 수가 증가하는 기현상을 말한다.
세그먼트 기억장치 할당(Segmented Memory Allocation)
세그먼트의 개념은 프로그래머가 프로그램을 모듈 단위로 구성하는 습관에 기반한다.
세그먼트 기억장치 할당 기법에서 각 작업은 여러 개의 서로 다른 크기의 세그먼트로 나뉘어지며, 각 세그먼트는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모듈이라 할 수 있다. 서브루틴은 이러한 논리적인 묶음의 한 예다.
5장/프로세스 관리
교착상태의 4가지 조건:
상호베제, 자원의 점유, 비선점, 환형 대기.
교착 상태를 처리하는 전략은 다음과 같다.
1.네가지 조건 중 하나를 제거해 교착 상태를 예방한다.
2.가능하다면, 교착 상태를 회피한다.
3.교착 상태를 발견하고 복구한다.
'일상_이야기 > 대학교_운영체제_강의_수업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5/31 '운영체제' 수업 일지 (0) | 2023.06.02 |
---|---|
2023/05/17 '운영체제' 수업 일지 (0) | 2023.05.18 |
2023/05/09 '운영체제' 수업 일지 (0) | 2023.05.13 |
2023/04/25 '운영체제' 수업 일지 (0) | 2023.04.30 |
2023/03/29 '운영체제' 수업 일지 (0) | 2023.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