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버스: 여러가지 공통요소가 같이 사용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
컴퓨터에서의 시계: 다른 부품과 CPU의 작동 간격을 정확하게 맞추기 위한 것
원자시계: 거의 모든 시계의 기준이 될 정도록 정확한 시계. 원자의 진동으로 시간을 잰다.
32비트 컴퓨터는 한번에 32비트의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다.
CPU는 보조기억장치에서 메인 메모리로 데이터를 옮겨야 처리하고 읽을 수 있다.
메인보드의 ROM은 크기가 매우 작으나, 이 ROM의 데이터를 읽고 실행해 부팅을 진행한다.
메모리 계층 구조는 레지스터-캐시-메인 메모리-보조 기억장치 순서로 구성되며, 보조기억장치 쪽으로 갈 수록 느리고 가격이 저렴하다.
스마트폰의 프로세서는 일반적으로 CPU가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등으로 호칭한다.
운영체제가 없으면, 프로그램 하나 하나에 메모리 관리 등의 운영체제가 해야할 일을 다 넣어야 하므로 비 효율 적이다.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는 서로 장단점이 있으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한다.
반응형
'일상_이야기 > 대학교_운영체제_강의_수업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5/09 '운영체제' 수업 일지 (0) | 2023.05.13 |
---|---|
2023/04/25 '운영체제' 수업 일지 (0) | 2023.04.30 |
2023/03/22 '운영체제' 수업 일지 (1) | 2023.03.28 |
2023/03/15 '운영체제' 수업 일지 (0) | 2023.03.16 |
2023/03/08 '운영체제' 수업 일지 (0) | 2023.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