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장. 최근 시스템의 기억장치 관리.
페이지 기억장치 할당
들어온 작업은 동일한 크기의 페이지(page)로 나누어 처리하는 개념.
디스크의 한 영역은 섹터 혹은 블록이라 하며,주 기억장치의 한 영역을 페이지프레임(pagr frame)이라고 한다.
장점
-빈 페이지 프레임이 어떤 작업의 페이지에서도 사용되므로 외부 단편화가 없음.
-내부 단편화도 최소화됨.
단점
-페이지의 위치를 추적할 방법이 필요하다.
-작업 전체가 기억장치에 적재되어야한다.
테이블
작업 테이블, 페이지 사상 테이블, 기억장치 사상 테이블
변위(displacement, offset)는 페이지의 시작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 것인지를 나타내며, 상대적인 위치를 보여준다.
주소 해결: 명령어가 실행될 때 마다, 데이터가 사용 될 때 마다 프로그램 주소를 물리적 주소로 번역하는 과정
페이징 기법은 주 기억장치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더 많은 작업을 적재할 수 있으나, 처리부담이 증가하며 '페이지의 크기'가 중요하다.
최상의 페이지 크기는 실제 작업 환경, 처리될 작업의 특성 및 시스템 제약 사항 등에 따라 결정된다.
요구페이징(demand paging)
프로그램을 주 기억장치에 일부만 적재해 사용하는 개념.
모든 페이지들이 일시에 필요하지는 않는 사실을 이용한다.
반응형
'일상_이야기 > 대학교_운영체제_강의_수업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6/07 '운영체제' 수업 일지 (0) | 2023.06.07 |
---|---|
2023/05/31 '운영체제' 수업 일지 (0) | 2023.06.02 |
2023/05/09 '운영체제' 수업 일지 (0) | 2023.05.13 |
2023/04/25 '운영체제' 수업 일지 (0) | 2023.04.30 |
2023/03/29 '운영체제' 수업 일지 (0) | 2023.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