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는 가끔 서버가 필요할 때가 있다. 친구들과 함께 즐길 게임 서버가 필요할 때, 웹 사이트를 운영해야 할 때, 메일 서버가 필요할 때... 하지만 집에서 그런 서버를 운영하기에는 쉽지 않다. 서버용 하드웨어가 비싸 데스크톱을 서버로 사용하기에는 전기세와 네트워크 대역폭이 문제가 되고, 관리의 어려움과 해킹 위험성은 덤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아마존의 AWS나 마이크로 소프트의 Azure, 구글의 GCP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은 가격이 부담될 수 있다. 그 비싼 가격을 부담하더라도, 복잡한 설정과 DDos 대책까지 생각한다면 더욱 골치가 아파지기 마련이다.
그런 분들을 위해 오늘은 'Vultr'를 소개하고자 한다.
다양하면서 간단한 선택지.

Vultr의 장점은 수없이 많지만, 제일 큰 장점을 고르라 한다면 서버의 성능부터 설치할 OS, 프로그램까지 한 번의 클릭으로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는 쉬운 설정법이 제일 큰 장점이라 하고 싶다.
OS의 경우 우리가 흔히 아는 윈도우의 서버 버전, 우분투, 페도라 같은 OS는 바로 설치가 가능하며, ISO 파일을 업로드해 자신이 원하는 OS를 구동할 수도 있을뿐더러 OpenVPN, LAMP, 워드 프레스 같은 유명한 프로그램들을 빠르고 손쉽게 다운로드할 수 있다. 원한다면, 학생들이 좋아할 법한 마인크래프트 서버도 가능하다.
서버의 CPU와 스토리지는 대부분 최신형 부품이 사용된 서버를 선택하겠지만, 예산을 최대한 아끼고 장시간 구동해야 하는 경우 일반 SSD와 이전 세대의 인텔 CPU로 구동되는 서버를 구성할 수 있다. 훨씬 저렴해진 가격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을 것 이다.
그렇다면 가격은?

구세대 CPU에 서울 서버 기준으로 한달에 5달러, 10달러만 투자해도 꽤 괜찮은 사양의 서버를 사용할 수 있어 가격만으로도 다른 서비스에 비해 매리트가 충분하다. 특히 매달 신용카드에서 쓴 만큼 빠져나가는 것이 아닌, 크레딧에서 차감되는 방식을 사용하기에 만약 해킹을 당하는 것처럼 불상사가 생기더라도 충전해둔 크레딧 이상의 피해는 없는 것 또한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사용 방법이 어렵지는 않나요?

이미지에서 보다시피, 웹 기반으로 관리가 가능해 편리하다. 데스크톱뿐만 아니라 모바일 환경에서도 접속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실수로 접속이 끊기더라도 다시 재접속한다면 간단하게 재연결이 가능해지는 것 또한 장점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혹시 무료 크레딧을 주는 이벤트는 없나요?

당연히 있다. 일반적인 추천인 이벤트처럼 이미 vultr를 사용하는 유저의 추천 코드를 사용하면 추가 크레딧을 받을 수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추천 코드를 제공하지 않으니, 주변에 vultr를 사용하는 유저가 있다면 한번 요청해보자.
포스팅을 마치며
필자는 집에서 서버를 운영하기에는 힘들지만 예산이 부족해 유명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기 힘든 적이 있었다. 이 글이 당시의 자신처럼 힘들지만 다양한 것을 시도해보고 싶은 분들에게 바친다.
본 사용기는 후원이나 타인의 도움 없이 작성되었습니다.
'IT 리뷰 > 클라우드_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랫동안 사용했던 mega.io(메가) 사용기. (3) | 2022.08.11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