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인터넷에서 수많은 이미지 파일을 접합니다. 인터넷 뉴스 기사에서 대문짝만하게 나오는 사진, 포털 사이트의 수많은 로고와 그림들도, 그 외 다른 모든 것들도 결국 이미지 파일로 구성됩니다.
이 수많은 이미지들은 우리가 흔히 아는 JPG, PNG, GIF 등의 전통적인 이미지 확장자를 달고 사용됩니다. 그런데 요즘, 가끔씩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아보면 못보던 이름이 보이게 됩니다. WebP입니다.
그래서 WebP가 뭔데?
WebP는 구글에서 제작한 웹용 이미지 형식 입니다.
무손실/손실 압축을 둘 다 지원하며, 투명도를 지원해 투명한 배경의 이미지도 사용할 수있습니다. JPEG, PNG 형식의 이미지 파일 대비 20~30% 가량 크기가 작아 서비스 사용자와 개발자에게 모두 이득이 되며, 현재 주로 사용되는 JPG.PNG,GIF 형식을 모두 대체할 수 있습니다.
특히 GIF는 256색만 지원해 상대적으로 화질이 낮지만, WebP는 훨씬 더 많은 색상과 더 나은 화질을 더 적은 용량으로 지원합니다.
장점:
WebP를 사용하는 개발자/서비스 제공자(블로그 포함)에게는 WebP의 작은 용량 덕분에 더 적은 트래픽/저장공간 비용이 제일 크게 와닿습니다. 서비스 제공자에게 데이터 송/수신 트래픽과 저장공간은 지출로 직결되므로, 잘 사용한다면 서비스에 따라 큰 비용 절감을 누릴 수 있습니다.
WebP를 사용하는 서비스의 이용자에게는 더 적은 데이터 비용, 더 빠르고 편안한 웹사이트 이용 경험이 제일 와닿는 장점입니다. 많은 이미지파일로 가득한 웹 환경은 모바일 데이터 요금제에서 제한된 데이터를 과도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WebP를 적절히 사용한 페이지를 사용하는 것이 데이터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네트워크 대역폭(속도)이 낮게 제한되어있는 환경에서 WebP는 타 이미지 형식 대비 빠르게 전송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열악한 환경에서도 사용자에게 쾌적한 웹 이용을 보장합니다.
단점
일부 브라우저, 웹사이트, 기기의 미지원으로 인한 호환성 이슈가 있습니다.
게시판 형식의 웹 페이지에서 WebP 형식의 이미지 파일을 게시할 때, 다른 이미지 파일들은 이미지가 잘 출력되지만 Webp 형식의 이미지는 첨부파일로 첨부될 뿐, 다른 이미지 파일처럼 출력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WebP 하드웨어 디코딩(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재생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기기에서는 더 많은 리소스를 사용해, 다소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결론
WebP는 개발자 입장에서도, 사용자 입장에서도 충분히 사용할만한 장점이 있습니다. 비록 호환성 이슈가 있어 가끔 문제가 생길 때도 있지만, 장점과 단점을 비교해보면 충분히 감당할 만한 부분입니다.
만약 gif나 PNG, JPG등의 기존 이미지 형식보다 더 나은 성능을 원하시는 분이라면, 한번 사용해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볼만한 자료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520 오류란? (0) | 2024.05.16 |
---|---|
HTTP 502 오류란? (0) | 2024.02.01 |
컴퓨터 유지 관리 (1) | 2023.12.29 |
시놀로지 NAS 파일을 링크로 공유하기! (0) | 2023.12.29 |
HTTP 429 오류란? (0) | 2023.12.04 |
댓글